Deepsky

찐하게 오리온 대성운

by Starholic posted Nov 27, 2025
?

단축키

Prev이전 문서

Next다음 문서

ESC닫기

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

올해도 시도하는 매년 오리온 대성운 한번씩 찍기.

나름 제 천체사진 촬영 및 이미지처리 실력 평가를 위한 지표로 활용중 입니다.

가장 화려한 대상중 하나이다보니 제가 가장 좋아하기도 하고요.  (산광, 반사,  암흑 성운과 밝은 별 까지 존재하는 대상!)

 

이전 사진과 같이,  No-flat, No-dark 입니다.

  - Flat : Pixinsight 의 Gradient correction 및 Dynamic Background Extraction 활용

  - Dark : Pixinsight 의 Cosmetic Correction 의 Auto Detection 기능 사용

    다크노이즈는 일반 노이즈와 다르게,  특정 픽셀만 정보값이 0% 이거가 100% 인 노이즈 이기 때문에 s/w 로 손쉽게 처리 가능합니다.

  - 다만 먼지 등으로 생기는 도넛 모양의 검은 반점들은 flat처리로 잡는게 좋지만,  no flat 이다보니 Photoshop2026 의 스팟복구브러쉬로 하나하나 찍어서...(수백번 클릭??)

(요 부분은 어떻게 처리했냐고 문의 mail/쪽지가 와서 이번에 정리해서 적어드렸습니다) 

 

광학계의 특성상 별의 산란광이나 필터로 발생한 약간의 하로가 매번 아쉽기는 하지만 (제 입실론180ed 에는 약간의 주경 손상이 있어서...ㅎㅎ)

이번 시도는 좀 만족스러운 점이.....중심부 지역의 HDR Composite 시도가 그럭저럭 성공적으로 적용되서,   매우 밝은 중심부 디테일도 조금은....

기존에는 L이미지만 HDR 처리를 했는데,  이번엔 L이미지는 3중다중,  RGB 는 2가지로 찍어서 합성처리 했습니다.

중심부 색상을 표현까지는 좀 힘들긴 한데,  하얗게만 표현이 되지 않게 한 것만으로도 만족합니다.

 

뭐 그래도 불만족 스러운 점이 있기는 한데......다음에 또 뭔가 개선해 보겠습니다.

올 시즌 오리온대성운 숙제 완성!

 

# Date : 2025/11/20

# Location :  강원도 홍천군 내면 서울천문동호회 관측지

# Equipment

   - Mount :  자작하모닉마운트(32-20)

   - Telescope : Takahashi Epsilon180ed (FL 500mm, F2.8)

   - Camera : Touptek 26K mono with Antilia LRGB

# Exposure  (Total about 275 minutes)

   - L : 120sec x 104    10sec x 32   3sec x 32

   - RGB : 60sec X 16,  10sec x 16 each

# SW

   - Acquiring : NINA, PHDguiding

   - Processing : Pixinsight. Photoshop

 

final1_cc.jpg