매년 찍을까말까 고민하던 대상입니다. 대상의 크기가 상당히 큰 편이라서....제 장비하고 약간 궁합이 안맞는 사이즈.
다카하시 입실론180ED (촛점거리 500mm, F2.8) 경통에는 풀프레임 CMOS카메라를 사용하면 딱 맞는 사이즈 이긴 한데.....
풀프레임을 사면 여러가지 골치가 아픈지라....
CMOS카메라 이전의 CCD카메라 일때는 풀프레임 사이즈 장비도 사용했었는데 (관련 글 :https://www.nightsky.kr/xe/Info/2294 )
이때가 2011년이니 울 아이들 초등학교때네요.
모노 풀프레임 사이즈 장비로 가면 골치아퍼지는게 많습니다. 일단 카메라도 비싸고요, 2인치 이상의 대형 네로우 필터는 비싸죠.
입실론이 F2.8 장비이다 보니 네로우 필터는 또 Highspeed 필터를 써야하니....
거기다가 광축 및 상의 평탄도를 잘 맞춰줘야 하는데. 요즘이야 대충찍고 ai의 도움을 받아 걍 넘어가지만, 예전엔 원판 불변의 법칙이라.
예전에 ccd 쓸때는 정말 광축 2시간 잡고, 촛점 하나 잡는데 30분 넘게 걸리곤 했는데. 요즘은 장비가 참 좋아져서.
뭐....입실론180ed 를 사용하지 않고 굴절경통 장촛점 RC/SCT 사용하는 경우는 전혀 발생하지 않는 문제이니 신경 안쓰셔도 되고요.
하여간 매년 고민만 하다가 안찍었는데. 올봄 여름 집 이사 등등의 문제로 관측 못나가다가 큰맘먹고 조경철천문대 한번 나갔다 왔고요.
그 사진도 여러 난관 때문에 바로 처리 안하고 2주 넘게 뜸드리다 이제야 처리해 봤습니다.
- 관측지에서 flat을 찍기는 했는데, 열어보니 너무 밝게 찍혀서 애매하기도 해서 걍 sw 플랫 처리 했고 (Pix, Gradient Correction)
다행히 관측나가기전에 광학계를 잘 청소하고 나가서 그런지 도넛 그림자가 하나도 안생겼네요. (원판 불변의 법칙)
- 최근에 이미지 처리 컴퓨터를 바꿨는데 (Macmini4) 이전 컴퓨터에 있던 다크마스터 화일들이 분실되는.....쩝. 다시 찍기 뭐해서
- 고로 Bias, Flat, Dark 이미지가 없어서 걍...처리 했습니다. (근데 저는 매번 이것들 준비가 안...)
하여간 그럭저럭 찍고, 그럭저럭 처리해 봤습니다.
# Date : 2025/07/28
# Location : 조경철천문대 주차장 South Korea
# Equipment
- Mount : 자작하모닉마운트(32-20)
- Telescope : Takahashi Epsilon180ed (FL 500mm, F2.8)
- Camera : Touptek 26K Mono with Antilia EDGE 4.5nm Narrow band filter (Ha, S2, O3)
# Exposure
- Ha, S2, O3 : 200sec X 16 each, (total 160 Minutes)
# SW
- Acquiring : NINA, PHDguiding
- Processing : Pixinsight. Photoshop